본문 바로가기

REVIEW/Books

[오늘의책] 당신은 지금의 삶에 충실하신가요? '우리 읍내'

반응형

 

연극을 하는 이들에게는 너무나도 유명한 작품, '우리 읍내'

 

'우리 읍내'는 1938년 연극 분야 퓰리처상 수상작으로, 인간 삶의 유한성과 한계점을 극적으로 보여주며 한정적인 삶을 적극적으로 살라는 '카르페디엠'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작품이다.

 

뉴 햄프셔 주의 한 소읍을 무대로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일생생활을 그린 작품.

 

평범하게 태어나 평범하게 살다 죽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담하게 관조하면서, 우리가 소홀히 넘겨버리기 쉬운 일상을 조용히 되돌아보게 한다. 손톤은 이 평범한 이야기를 통해 '인생을 살만한 가치가 있다'는 긍정적인 자신감을 선사한다.

 

내겐 너무 다가가기 어려운 희곡, 역시 읽는 것보다 보는 것이 제맛!

 

처음으로 희곡이란 장르를 책으로 접하게 된 것은 '파우스트'였던가..? 담담하게 써내려간 글에 익숙해진 눈으로 익숙하지 않은 포맷에 어색했던 탓인지, 그 이후로 희곡 장르의 책을 접하기는 것을 본능적으로 거부했었다.

 

우연한 기회로 '우리 읍내'라는 작품을 꾹 참아가며 읽어보기도 하고, 한데 모여 낭독을 해보기도 했는데.. 역시나 분명한 취향은 본능적으로 희곡에 대한 약간의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던 듯 하다. 책을 읽으면서도 재밌게 읽었고,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려하기보다 꾹 참으면서 읽었고, 마찬가지로 낭독을 할때도 어색한 느낌이 너무나도 많았다는 사실이 아쉽다.

 

사실 이 희곡은 연기과 학생들이 졸업 전에는 꼭 연기해본다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극의 길이가 길지 않아 유튜브를 통해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굳이 책을 구매하지 않아도 희곡 대본집을 쉽게 구할 수 있기도 하다...;;) 읽혀지기 위한 책이라기 보다는 보여지기 위한 대본이기에, 눈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의도가 명확하게 보인달까..?

 

평소라면 하지 않았을 '희곡을 읽었다'라는 경험에 감사하며, 안하던 것을 해봄으로써 다시 한번 이 장르는 읽어보지는 않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 나의 고집불통 취향에 약간의 경의를 보낸다.

 

 

 

반응형